다이어트를 결심했지만, 정작 몸을 움직이는 건 쉽지 않다는 걸 우리 모두 잘 알아요.
그런데 이건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, 한국 사회 전체가
운동 부족 상태에 빠져 있다는 점에서 더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.
실제로 2024년 기준, 우리나라 성인의 운동 실천율은 세계 195개국 중 191위.
WHO 기준으로 보면, 성인 10명 중 7명이 ‘신체활동 부족자’에 해당합니다.
OECD 국가 중에서도 최하위권이고요.
1️⃣ 한국은 왜 이렇게 안 움직일까?
‘의지가 약해서’가 아니라, 우리의 일상 구조 자체가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이에요.
도시 생활의 대부분은 앉아 있는 시간으로 채워지고,
많은 사람들이 하루 대부분을 컴퓨터 앞에서 보내고 있어요.
• 팬데믹 이후 일상은 회복됐지만, 운동 습관은 여전히 부족
• 여성, 고령층, 우울감을 겪는 사람일수록 실천율 더 낮음
• 특히 대도시일수록 앉아 있는 시간이 길고 걷는 시간은 짧음
이처럼 ‘움직이지 않는 삶’이 자연스러워진 사회에서는
다이어트를 시작하기도 어려운 게 당연한 일이에요.
2️⃣ 움직이지 않으면 살이 찌는 몸이 된다
운동을 안 하면 살이 찐다는 말, 너무 많이 들어서 익숙하죠.
그런데 정말 무서운 건 ‘움직이지 않아서 생기는 변화’예요.
활동량이 줄면 몸의 기초대사량도 같이 떨어지고, 이로 인해 지방이 점점 쌓이게 됩니다.
🌀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 → 인슐린 저항성 증가 → 내장지방 축적
🌀식욕 억제 호르몬 렙틴은 줄고, 식욕 증가 호르몬 그렐린은 증가
🌀조금만 먹어도 살이 찌는 ‘대사 느린 몸’으로 변해가기 쉬움
다이어트를 위해 식단만 조절하는 데 한계를 느꼈다면, 움직임 부족이 원인일 수도 있어요.
3️⃣ 다이어트, 운동보다 ‘움직임’이 먼저다
운동이라는 말 자체가 버겁게 느껴진다면, 훨씬 가볍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.
바로 ‘운동’ 대신 ‘움직임’을 늘리는 거예요.
• 1시간마다 자리에서 일어나기
|
이런 사소한 변화들이 결국 몸의 균형을 다시 잡아주고,
살이 찌기 쉬운 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실마리가 돼요.
😊😊😊
움직이지 않는 삶이 당연해진 시대, 다이어트가 쉽지 않은 건 어쩌면 너무 당연한 일일지도 몰라요.
하지만 작게라도 움직이기 시작한다면, 내 몸도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할 거예요.
오늘 한 번만 더 일어나기, 계단 한 층 오르기. 그 사소한 변화가 다이어트의 진짜 시작일 수 있습니다.